<
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기준, 한부모가정을 위한 지원 제도가 한층 강화되었습니다. 소득 기준이 완화되고 양육비 지원 금액이 증가하여 더 많은 가정이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원 가능 조건, 혜택 안내 및 변경된 지원 내용, 그리고 신청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지원 가능 조건
- 🔸 한부모가정 지원금 대상 가정
- 부 또는 모가 세대주로서 만 18세 미만의 자녀를 양육하는 가구
- 자녀가 취학 중인 경우에는 만 22세까지 지원대상에 포함
- 🔸 소득 인정액 기준
-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인 경우
- 기준 중위소득은 해마다 조금씩 변동되며, 현재 25년 자료는 공개되지 않았으니 작년 기준 중위소득 표 보기
참고: 기준 중위소득 63%는 가구원 수에 따라 상이하니 세부 정보는 주민센터에 문의하세요 !
- 🔸 중복 수급금지
- 아동복지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긴급복지지원법 등 다른 법령에 따른 보조금을 이미 받고 있다면 한부모가정 지원금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2. 한부모가정 지원 혜택 안내 및 2025년 달라진 지원금
25년에는 한부모가정 지원이 더욱 확대되었습니다.
- 🔸 월별 양육비 지원
- 기본 양육비: 자녀 1인당 월 23만원으로 인상
- 양육비 선지급제: 양육비를 받지 못하는 경우 국가가 월 20만원 선지급
- 🔸 학용품비 지원
- 신학기 시작 전 자녀를 위해 연 93,000원 지원
- 🔸 특별지원금
- 경제적으로 더 어려운 가구에게 연 276만원 추가로 지원
- 🔸 위기 임산부 및 아동보호
- 위기 임산부가 출산한 경우, 긴급위탁보호비 월 100만원 지원
- 🔸 자립 지원 강화
- 보호시설 퇴소 청소년 연 600만원 지원으로 상향
- 성폭력 피해 청소년도 동일 혜택 지원
- 🔸 예산 증가
- 25년 정부 예산 총 5조 5,283억원 규모
- 양육비 이행지원금: 1,620억원
- 복지 지원시설: 584억원
3. 신청 방법
- 🔸 상담 및 신청
- 방문 신청: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
- 온라인 신청: 복지로 누리집
- 🔸 심사 절차
- 시/군/구청에서 신청자의 소득과 재산 상태를 종합적으로 조사후, 대상자로 확정되면 지원금 지급
- 🔸 필수 서류
- 사회복지서비스 및 급여 신청서
- 소득 및 재산 확인 서류
-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2025년 한부모가정을 위한 지원 제도는 보다 많은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확대·강화되었습니다. 한부모가정이라면 꼭 지원 조건을 확인하시고, 필요한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든든한 발판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