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스토리 뷰

목차



    청년도약계좌는 대한민국 정부가 청년들의 재정적 자립을 돕기 위해 마련한 정책적 금융 상품입니다. 2024년부터 시행되었으며, 청년들이 장기적으로 재정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계좌입니다.

     

    2025년 1월부터 혜택이 훨씬 업그레이드되었으니, 가입요건에 맞는 분들은 놓치지 말고 신청하세요!

     

    1. 청년도약계좌 기존과 변경된 점

     

     

    일단 올해부터 청년도약계좌가 변경됩니다!

    첫 번째 매칭한도가 없어지고 실제 납입한 만큼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월급여에 따라 정부기여금의 한도가 있었지만 없어지고 많이 납입한 만큼 더 혜택이 커집니다.

     

     

    두 번째 납입기간 3년만 채우면 중도해지 시에도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5년을 다 채워야 혜택을 받을 수 있었던 반면

    이제는 3년만 납입하면 기여금 60%와 비과세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으며,

    2년 납입 시 부분인출도 가능하다는 점! 납입원금의 40%까지 부분인출할 수 있는 서비스가

    25년 하반기부터 시작된다고 하니, 이제는 급할 때 꺼내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세 번째신용점수가 올라갑니다.

    2년 이상 가입하고 800만 원 이상 저축 시, 신용점수가 5~10점 올라갑니다.

    NICE랑 KCB 기준 둘 다 올라가며, 대출받을 일이 있다면 정말 유용하겠죠?

     

     

    2.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나이: 계좌 만드는 날짜 기준 만 19세~34세까지

    군대를 다녀오신 분이라면 최대 6년까지 늘려주어 최대 만 36세까지 가능합니다.

     

     

    소득: 작년 연봉이 7,500만 원 이하이며 종합소득이 6,300만 원 이하

    또한 가소소득이 중위소득 250% 이하여야 합니다.

     

    가입제외대상자: 금융소득 종합과세대상자,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비과세소득만 있는 자

     

     

     

    3. 정부기여금

     

    청년도약계좌는 평소 이용하는 각 은행에서 가입이 가능합니다.

    은행에서 주는 금리 : 4.5% + 우대금리 : 1.5%  →  최대 6% 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소득에 따라 기여금이 나오는데

     

    5년 동안 70만 원씩 저금 시 원금 4,200만 원 + 이자, 정부지원금 = 대략 5천만 원 정도 나옵니다.

    예) 연봉 2,400만 원 이하, 월 70만 원씩 저금 시 = 연 최대 9.54% 수익률

     

     

    4.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 가입신청: 1월 2일 ~ 1월 10일

    ☑️ 자격확인: 1월 13일 ~ 1월 24일

    ☑️ 1인가구 계좌개설: 1월 16일 ~ 1월 24일

    ☑️ 2인가구 계좌개설: 1월 27일 ~ 2월 07일

     

    신청은 협약은행에서 가능하며

    각 은행마다 우대금리가 다르므로 확인하고 가입하시면 됩니다.

     

    광주, 전북은행: 1.7%

    대구, 부산, 경남은행: 1.5%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은행: 1.0%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자신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기회이므로,

    조건에 맞는 청년이라면 이 기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