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가세의 수정신고가산세 납부지연가산세 그리고 감면조건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수정신고 가산세란?
부가세 수정신고 가산세는 납세자가 자신이 신고한 부가가치세 중 일부가 잘못되었음을 인식하고 자진해서 수정신고를 하는 경우 부과되는 추가 세금입니다. 예를 들어, 매출을 누락해 세금을 적게 신고한 경우, 수정신고를 통해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아야 합니다. 이때 추가로 납부해야 할 세액에 일정 비율의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2. 수정신고 가산세 금액은?
원칙적으로는 누락된 세액의 10%가 가산세로 부과됩니다. 그러나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이나 고의적인 매출 누락 등 부정행위로 인한 과소신고의 경우, 누락된 세액의 40%를 곱하여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3. 수정신고 가산세 감면 조건 및 금액
부가세를 과소신고하여 추가로 수정신고를 한 경우, 법정 신고 기한에 따라 감면 비율이 달라집니다.
- 1개월 이내 신고 시: 90% 감면
- 1개월 초과 3개월 이내 신고 시: 75% 감면
-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 신고 시: 50% 감면
- 6개월 초과 1년 이내 신고 시: 30% 감면
- 1년 초과 1년 6개월 이내 신고 시: 20% 감면
- 1년 6개월 초과 2년 이내 신고 시: 10% 감면
각 기한 내에 신고를 진행할수록 더 많은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납부지연 가산세란?
부가세 납부지연가산세는 신고는 했으나 세금을 납부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은 경우에 부과됩니다. 이는 납세자의 세금 납부 지연을 방지하고, 세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세금 제도입니다.
5. 납부지연 가산세 금액은?
부가세 납부지연가산세는 다음의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과소신고 납부세액 × 기간 × 0.022%
여기서 기간은 법정 납부기한의 다음 날부터 납부일까지의 기간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의 부가세를 30일 지연 납부한 경우,
100만 원 × 30일 × 0.022% = 6,600원의 납부지연가산세가 추가로 부과됩니다.
6. 부가세 수정신고 및 납부지연 가산세 방지법
첫째, 신고 및 납부 기한을 철저히 준수할 것.
둘째, 회사의 매출 및 매입 내역을 꼼꼼히 검토하여 실수나 매출 누락을 방지할 것.
셋째, 부득이하게 기한 내 납부가 어려운 경우, 요건을 충족하면 기한 연장 신청도 가능합니다.
오늘은 부가세 수정신고 가산세, 납부지연가산세, 그리고 감면 조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개인사업자와 법인사업자 모두 부가세 납세의무가 있다면, 가산세가 부과되지 않도록 신고와 납부 기한을 철저히 준수하여, 반드시 기한 내에 부가가치세를 신고하고 납부하시길 바랍니다.




















